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2024년 노동이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47회 작성일 23-12-26 13:15

본문

< 2024년 변경되는 노동이슈 >

1. 최저임금 상승과 산입범위의 확대
구분                시간급            월환산액                  비고
2023년  :      9,620원      2,010,580원      전년도 대비 2.5% 인상
2024년  :      9,860원      2,060,740원
인상액  :          240원            50,160원

※ 2024년부터 정기상여금(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과 복리후생비(식대, 교통비, 육아수당 등)가 전액 최저임금에 산입됨.
 
2. 산업안전보건교육규정 개정
 2023년 9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시행규칙 일부가 개정되어 사무직 3시간, 비사무직 6시간의 정기 안전보건교육을 매‘분기별’로 시행해야 했으나 ‘반기별’교육으로 완화되었습니다.

교육과정                        교육대상                                                        교육시간         
정기교육  :          1) 사무직 종사근로자                                                매반기 6시간 이상
                          2)  비사무직 종사근로자
                            가)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매반기 6시간 이상
                            나)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외의 근로자      매반기 12시간 이상


3. 연장근로시간 관련 이슈

    요일              월            화            수          목           
실근로시간:    12시간    12시간    12시간    12시간
연장근로시간:  4시간      4시간      4시간      4시간
행정해석 및 하급심 :  총 16시간으로 연장근로시간 한도 초과
대법원:  총 근로시간 협계가 48시간이므로  법정 연장근로시간 한도인 52시간 미만으로 위법이 아님

 이전의 행정해석 및 하급심은 연장근로시간 합계가 16시간이므로 12시간을 초과하여 위법이라고 판단하였는데, 이번 대법원 판례에서는 16시간 일을 하더라도 주52시간 내이므로 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2020도15393, 선고 2023. 12. 7. 참고)

4. 고용허가제 확대 시행
 정부는 2024년 E9비자 외국인력 도입규모를 작년보다 4만5천명 증가한 16만5천명으로 확정하였습니다.

5. 고용보험 중간입사자 처리방식 변경
 2023년까지는 해달 월의 보험료를 일수에 비례하여 산정하였지만, 2024년부터 월 중간에 입사한 근로자의 경우 다음 달부터 고용보험료가 부과됩니다.

6.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이슈
 이전까지는 취업규칙이 근로자들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되는 경우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함. 다만,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인정되는 경우 근로자들의 동의가 없어도 변경이 가능하였지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더라도 근로자의 동의가 없으면 불이익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대법2017다35588, 선고2023. 5. 11.참고)

--끝--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